식품위생학 - 1. 식중독
식중독의 분류는 세균성 식중독, 바이러스성, 원충성, 화학성, 자연독 식중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나라 식중독 원인의 80% 이상이 세균성과 바이러스성 식중독이다. 세균성 식중독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계절은 여름이다. 감염형 식중독의 잠복기는 약 8~24시간으로 대체로 긴 편이며,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병원성 대장균, 캠필로박터, 리스테리아, 여시니아, 웰치균 등이 있으며, 독소형 식중독은 2~8시간으로 잠복기가 대체로 짧으며 포도상구균, 보툴리누스, 세레우스 식중독이 해당된다. * 감염형 식중독 1. 살모넬라 식중독 수인성 질병인 Salmonella typhi, paratyphi를 제외한 Sal. typhimurium, derby 등에 의해 발생하며 Gram 음성, 무아포성, 통성혐기성, 운동..
2023. 3. 15.
[Green] 기출문제 정리 - (4)
- 저온멸균법은 63도에서 30분 또는 75도에서 15~30분 간 소독하는 방법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 결핵균, 살모넬라균, 브루셀라균 등의 멸균을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아이스크림 원료, 우유, 과일, 포도주를 살균하는데 이용되며 파스퇴르에 의해 고안된 멸균법이다. - 허용보존료에는 디하이드로초산, 나트륨, 소르브산, 안식향산,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피온산 등이 사용된다. 산화방지제로는 BHT, BHA, 몰식자산프로필, 아스코르빌, EDTA류 등이 있다. - 보툴리누스 식중독은 열에 약하여 8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면 파괴되지만 포도상구균 식중독 균은 열에 강하여 잘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치사율은 매우 낮고 발열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O157 균은 장관출혈성 대장균이며 독소는 Vero..
2023. 3. 4.
[Red, Green] 기출문제 정리 - (1)
- 위험요인과 질병발생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하여 역학적 연구를 설계하고자 할 때 인과적 연관성에 대한 근거의 수준이 가장 높은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이다. - 소화기계 감염병의 경우 연령이나, 성별, 경제 상태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호흡기계 감염병의 경우 연령이나 성별, 경제 상태 등에 따라서 그 발생에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 PRECEDE 진단과정의 순서는 사회를 먼저 진단하고 -> 역학 진단 -> 행동적, 환경적인 진단 -> 교육, 생태학적 진단 -> 행정적, 정책적 진단의 순서이다. - 4급 감염병 중 회충, 편충, 요충, 흡충 등은 해당하나 촌충증은 해당하지 않는다. 현재 규제 또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프탈레이트는 DEHP, DBP, BBP, DnOP, DINP, DIDP 등의 6종이며, 프..
2023. 3. 4.
생물해양학 예상 기출문제 정리 2
안녕하세요. 생물해양학 예상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시작해 보겠습니다. 생존 필요 유기물 무기물로부터 직접, 다른 생물에 의해 만든 명칭, 영어 세균, 곰팡이 등 잔해 분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태양, mixing nutrient 역할 어느위도? 용승지역 일차생산력과 퍼센트에 대하여. 해양에 대해 적응하는 방법 3가지, 귀납법과 연역법 개념의 정의를 설명하여라. 모든 어류, 해양생물은 아가미를 가진다. 변수, 통제, 통제된 실험, 과학적 이론 영어로 무엇인가. 평화로운 바다, 가장 깊고 넓은 바다, 나머지 모든 해양 합친 것과 같은 바다 가장 좁은 면적과 얕은 수심 가지는 바다, 4개의 해양? 연결되어 있나? 합쳐서 뭐라 하는가? 해양, 대륙지각 주요 암석 영어, 주요 성분, 밀도, 해양지각의 평균연령은 ..
2023.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