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환경에 대하여/대기16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10) - 정도관리, 기출 2017 68. 전기전도도의 온도 보정에서 시료 온도가 25도 이하라면 온도당 측정값에 2%를 추가하고 온도 가 25도 이상이라면 온도당 측정값에 2%를 뺀다. 69. GC 분석 시 상대표준편차에 따른 표준물질 최소 측정점 수는 상대표준편차 0~2 (1) / 2~10(3) / 10~25(5) / 25이상 (7) 70. 시약 등급수의 유효성을 구분 짓기 위해 고려하는 항목은 전기저항, 전기전도도, 총 실리카 값 71.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B, C급 화재에 사용된다. 72. 검정곡선을 작성할 때 기기의 가변성에 따른 측정값의 계통오차를 가장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방법은 내부표준법이다. 73. 미량 유기물질을 위한 저장용액과 표준물질의 경우 바이알에 보관해 냉동고에 저장하며, 실리카 저장용액의 경우 반드시 플라스..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9) - 정도관리 35. 수은은 알칼리 처리를 할 경우 휘발성이 커지기 때문에 산 처리한다. HCl 5ml 첨가 36. 기술책임자는 기관의 문서 변경, 폐기를 최종 결정할 권한이 없다. 37. 건조 오븐은 180도 이상 온도를 유지하는지, 설정 온도에서 2도 이내의 정밀도를 유지하는지 확 인한다. 38. 정확도를 구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물질은 CRM, 인증표준물질이다. 39. 정도관리 평가팀은 대상 기관별로 2일 이내 현장평가한다. 40. 정확도 계산 식: spkiked value-unspiked value * 100 / spiked value 41. 다른 물질의 존재에 관계없이 대상 물질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은 특이성이다. 42. 실험실 폐액은 산, 알칼리, 유기계, 무기계로 나뉜다. 43. 숙련도 시험 평..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8) - 정도관리 * 정도관리 1. 정도관리 시료는 방법검출한계의 10배 또는 검정용 표준물질의 중간 농도로 제조한다. 2. 유기 정제 시약은 방법검출한계 수준에서 측정되지 않도록 제조된 정제 시약이다. 3. 현장바탕시료는 모든 현장채취시료보다 5배 정도의 낮은 값 이하로 측정되어야 문제가 없다. 4. 숙련도 시험에서 Z 값은 2 이하여야 적합, 2를 초과하는 경우 부적합으로 판정한다. 5. 숙련도 평가에서 오차율 산정은 오차율이 30% 이하인 경우 적합, 30보다 큰 경우 부적합이다. 6. 현장평가는 70점 이상인 경우 적합이다. 분야별 숙련도 평가는 90점 이상이어야 적합이다. 7. 페놀류는 폴리에틸렌이 아닌 유리용기에 채취하여야 한다. 8. ECD는 할로겐, 과산화물, 등에는 민감하지만 아민, 알코올 탄화수소 같은 ..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7) * 악취 1. 판정시험 전 노말뷰탄올로 냄새를 인식시키고, 선정용 시험액은 아세트산, 트라이메틸아민, Methylcyclopentenolone, b-Phenylethylalcohol을 사용한다. 2. 암모니아는 붕산용액 흡수법을 이용하며, 6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간섭물질은 암모늄염, 구리이온이 있으며, 필터 사용 시 기체상 암모니아가 제거될 수 있다. 재현성 측정은 3개 이상 측 정하여 상대표준편차를 구하며 10% 이내이어야 한다. 3. 암모니아는 인산 함침 여과지법도 이용하는데 여과지에 채취하고 정제수로 용출하여 흡광도를 측 정한다. 원형의 석영 재질 여과지를 전기로에서 500도 1시간 가열 후 실리카겔 건조용기에서 방 치하여 냉각한다. 이후 5% 인산 에탄올에 5분 함침 후 실리카겔 데시케..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6) 11. 실내공기 중 이산화질소에서 오존발생기의 오존은 질소산화물보다 농도가 높아야 하며, NO2를 NO로 변환하는 효율이 90% 이상, NH3가 NO로 변화되는 효율이 5% 이하여야 한다. 스팬가스는 NO2와 질소의 두 성분 혼합가스로서 측정기기 최대 눈금값의 80~90% 농도를 사용한다. 12. 이산화탄소 측정범위는 0~5000ppm이며 간섭물질은 입자상물질이다. 13. 일산화탄소 측정범위는 0~100ppm이며 간섭물질은 입자상물질, 수증기,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이 있으며 수증기가 가장 큰 방해요소이다. 14.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채취조건은 실내온도 20도 유지, 30분 이상 환기, 5시간 이상 밀폐, 5시간 이상 실내외 공기 이동의 금지이다. 15. 총부유세균은 20분 이상 3회 측정이며, ..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5) 91. 미세먼지 여과지는 석영, 불소수지, 유리섬유 재질로 효율이 99.95%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측 정공의 직경은 160mm 이상이어야 한다. 92. 황화수소를 메틸렌블루법으로 분석하는 경우 황화수소의 농도가 140ppm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분석용 시료용액을 흡수액으로 적당히 묽게 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정제수 X) 93.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데는 필터가 아닌 펌프, 증류장치 등이 필요하고 필터는 입자상 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데 사용한다. 94. 입자상 수은은 기체상 수은보다 수백배 정도 낮은 초극미량 수준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10~30 L/min에서 12~24시간 정도 입자상 시료를 채취하도록 권장한다. 95. 유류 중 황 함유량 분석을 위한 시료는 일반..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4) 61. 파과부피란 전체 VOC 양의 5%가 흡착관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흡착관 내부로 흘러간 총 부피를 말한다. 시료채취 안전부피는 파과부피의 2/3배를 취하거나 머무름 부피의 1/2 정 도를 취함으로서 얻어진다. 62. 환경대기 중 옥시던트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화학발광법은 오존과 에틸렌이 반응할 때 생 성되는 발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며 간섭 성분으로는 유기화합물이나 습도가 있 다. 수동법 중 1시간 이내 분석이 가능한 경우는 중성 아이오딘화포타슘법을 이용하며, 1 시간 이내 측정이 불가한 경우는 알칼리성 아이오딘화포타슘법을 사용한다. 알칼리성은 대 기중에 존재하는 저농도 옥시던트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63. 석면농도 식별방법 시 입자의 크기가 3um이 넘지 않는 경우 1개로 측정하며, 3um을..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3) 41. 다이옥신 및 퓨란류 시험방법에서 실린지 첨가용 내부표준물질의 회수율 범위는 50~120%의 범위를 만족하고, 방법검출한계는 표준상태 1pg/m3을 만족하여야 한다. 42. 비소화합물 분석에서 크로뮴, 코발트, 구리, 니켈 등이 수소화비소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간섭을 일으킬 정도로 높진 않다. 안티모니는 스티빈으로 환원되어 510nm에서 최 대 흡수를 나타내는 착물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비소 측정에 간섭을 줄 수 있다. 43. 니켈화합물 분석 시 최대 흡수 파장은 450nm, 540nm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장이 변하며 약 20분 정도는 안정하다. 따라서 흡광도 측정은 20분 내 이루어져야 한다. 클로로 폼에 의한 추출은 pH 8 ~ 11 사이로 가장 적당한 범위는 8.5~9.5 정도이.. 2024. 4. 8.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2) 21. 먼지 시료채취에서 흡입가스량은 원형 여과지일 때 채취면적 1cm2 당 1mg 정도, 원통형 여과지일 경우 전체 채취량이 5mg 이상 되도록 한다. 채취량을 얻기 힘들 경우에는 흡입 가스량을 400L 이상 또는 흡입시간을 40분 이상으로 한다. 22. 비소화합물을 측정할 경우 여과지는 규소섬유 또는 플루오린수지제를 사용하며, 수산화소 듐 4g/L을 흡수액으로 하며, 흡입유량은 1L / min으로 한다. 23. 납의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가연성 기체로 아세틸렌, 조연성 가스로는 공기 또는 아산 화질소, 납 속빈음극램프를 사용하며, 납을 질산에 녹여 표준액으로 사용한다. 24. 등속흡입계수는 가스상이 아닌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산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25. 아연환원 나프틸에틸.. 2024. 4. 7.
대기 환경측정분석사 정리 (1) * 대기 1. 유리전극을 이용한 pH 측정 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정제수로 깨끗이 씻은 후 건조시키지 말고 완충용액에 담가두어야 한다. 건조하면 이온의 이동이 어려워 고장의 원인이 된다. 2. 시료 중의 질소산화물을 오존 존재 하에서 정제수에 흡수시켜 질산 이온으로 만들고 분말 금속아연을 이용하여 아질산 이온으로 환원한 후 설파닐아미드 및 나프틸에틸렌다이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질소산화물을 정량한다. 3. Lambert-Beer 법칙에서 흡광도와 파장의 크기는 관계가 없다. 4. 서프레서는 용리액에 사용되는 전해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리관 뒤에 직렬로 접속시 킨 것이며, 서프레서 재생용액과 용리액은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해야 한다. 5. 1 N = kgm/s2 1 Pa = 1 N/m2 .. 2024. 4. 7.
대기오염 방지기술 - 질소산화물 제거~ 사이클론 형태의 버너는 화염온도가 높아 NOx의 발생이 많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실제 접선방향의 연소법은 일반 연소법에 비하여 NOx가 50~60% 정도 적게 배출된다. 희박 예혼합 방식으로 희박 혼합비를 14.6:1에 대해 16:1 이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출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 촉매환원법은 200~300도를 유지해야 한다. 200도 이하에서는 아질산암모늄이 생성되며, 300도 이상에서는 NOx가 NO로 되기 때문이다. 효율이 70~90% 정도로 가장 우수하다. TIO2, V2O5 혼합 촉매, NH3, H2, CO, H2S 환원제 이용 CO 환원제 시 남는 CO는 대기오염의 문제, H2 환원제 시 연소에서 생기는 CO로 인해 효율 감소 문제, NH3의 경우 질산암모늄과 NOx로의 .. 2023. 11. 27.
대기오염 방지기술 - 집진기술 사이클론의 원추부 하단에서 외부선회류가 내부 선회류로 바뀌어 상승기류가 될 때, dust box, hopper의 압력은 부압이 되며, 선회류에 의해 난류 현상이 생겨 집진된 입자가 재비산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처리가스의 5~10%를 분진퇴적함으로부터 흡입해 주는데 이를 블로우 다운이라고 한다. -> 처리가스량(유량)과 효율 공식은 역수 관계이며, 점도와 효율 관계는 비례 관계이다. 세정집진장치에서 관성충돌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분진의 입경이 크고, 물방울의 입경이 작아야 한다. 분진의 밀도가 커야 한다. 처리가스와 액적의 상대속도가 커야 하며 처리가스의 온도와 점도가 낮아야 한다. - 유수식 : S impeller, 로터형, 분수형, 나선가이드 베인형 - 가압수식: 충전탑, 분무탑, 스크.. 2023. 11. 27.
대기환경기사 정리 최종 * 후드의 종류 - 포위형 후드: 발생원을 전부 둘러싼 형태로 후드의 효과가 최대로 나타난다. - 부스형 후드: 작업을 위한 하나의 개구면을 제외한 발생원 주위를 전부 둘러싼 것이다. - 리시버식, 수형 후드: 오염기류가 발생할 때 기류의 방향에 따라 오염공기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캐노피형이 대표적 캐노피형, 천개형 후드라고도 한다. - 외부식 후드: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원을 둘러쌀 수 없을 경우에 발생원과 떨어져 설치하는 것. 따라서 발생원에 흡입기류를 주어 오염물질을 후드 안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여분의 송풍량을 더 흡입하여야 하고 외부의 난기류에 크게 영향을 받는 형태로 슬롯트형 후드라고도 한다. 슬로트형, 그리드형, 루버형 원심력 송풍기에는 터보형, 평판형, 다익형이 있으며, 축류식 송풍기는 선풍.. 2023. 11. 27.
대기화학에 대하여 - 환경의 끝 * 최신 환경화학 정리[대기화학 등] * 시료의 전처리 방법 - 질산법: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시료 - 질산 - 염산법: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 함유 시료 - 질산 - 황산법: 유기물 함량이 많은 대부분의 시료 - 질산 - 과염소산법: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폭발 위험으로 질산 먼저 투입) - 질산 - 과염소산 - 불화수소산법: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 - Nernst 분배법칙: 한 가지 용질이 두 종류의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에 분배되어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두 상의 용질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한다는 법칙으로 분배계수 계산(Kd)에 이용된다. - 용존산소 측정 시 아질산 이온의 방해는 아자이트화나트륨.. 2023. 6. 10.
대기환경기사 연소공학 * 오르자트 가스분석장치 1) CO2의 흡수액: KOH용액, SO2 동시에 흡수한다. 2) O2 흡수액: 알칼리성 피로가 롤 용액(KOH + 피로가 롤) 3) CO 흡수액: 암모니아성 염화 제1동 -> 3개 % 구한 후 나머지는 모두 질소 성분이다. 공기비가 큰 경우에 SOx, NOx의 함량이 증가하여 부식이 촉진된다. 최대탄산가스양, CO2 max란 연료를 이론공기량으로 연소 시 이론가스량 중의 CO2의 최대치를 말한다. 고로가스의 CO2max = 24~25%로 매우 크다. 정압비열은 압력이 일정, 정적비열은 부피가 일정, 정압비열 > 정적비열 이론연소온도: 연소과정에서 가연물질이 이론공기량으로 완전히 연소되고, 연소실의 벽면에서 열전달이나 복사에 의한 손실이 전혀 없다고 가정할 때 연소실 내의 가스온.. 2023. 3. 2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