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위생에 대하여 - 1
-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에서 조명환경관리구역은 1종, 2종, 3종, 4종으로 구분하여 조명환경관리구역으로 지정한다. - 물은 인체 구성량의 10%를 상실하면 생리적 이상을 초래하며, 30%를 상실하면 생명을 잃게 된다. 성인이 하루 필요한 물의 양은 2~2.5L 정도이며, 소모하는 물의 양은 서울에서 400L/1인, 1일, 대도시 300, 중, 소도시의 경우 200~250L 정도이다. - 살균에서 브롬화합물은 염소보다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므로 살균력이 염소보다 적으며, 은화합물은 물에 대한 살균력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상수도 염소소독 시 잔류염소량 기준은 0.1ppm 이상, 병원성 미생물에 의하여 오염되었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0.4ppm 이상, 4ppm을 넘지 않아야 한다. 유리잔류..
2023. 12. 16.
급수위생에 대하여 - 2
- 일반적으로 냄새, 맛, 탁도, 색도, 수소이온농도는 매일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하며,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녹농균, 총대장균군류는 매주 1~2회 정도 측정하여야 한다. 아황산환원혐기성포자형성균, 살모넬라, 쉬겔라류는 매월 1회 측정하여야 하며, 먹는 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별표 1에서 정하는 모든 항목은 매반기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 수돗물 검사 기준에 따른 수질검사의 횟수는 냄새, 맛, 색도, 탁도, pH, 염소이온 농도는 매일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하며, 세균류,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증발잔류물에 관한 검사는 매주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마을상수도, 전용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의 경우 매 분기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 먹는 물..
2023. 12. 16.
[수질오염방지기술] 폐수처리 -(1)
- 특정수질유해물질으로는 구리, 납, 비소, 수은, 시안, 유기인, 6가 크롬, 카드뮴,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페놀류, PCB, 셀레늄, 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1,1-디클로로에틸렌이 있다. - 수리학적으로 볼 때 폐수는 개수로나 관수로 중 하나를 흐르게 되는데 하수관은 외형이 관수로이지만 그 속의 폐수는 압력을 받지 않고 흐르도록 설계되므로 개수로로 취급된다. 개수로 흐름은 한 지점에서의 유량이 시간적으로 일정할 때 정상류라고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비정상류라고 한다. - 지금까지 개발된 유량측정기 중에서 고형물농도가 높은 폐수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압력관 유량측정장치는 자기식 유량측정기이다. 자기식 유량측정기는 고형물질이 많아 관을 메울 우려가 있는 폐수에 이용할 수 있..
2023.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