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환경에 대하여/수질60 수질환경기사 상하수도 계획 정리 (4)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 상하수도, 방지기술 - 오수관거는 계획오수량에 대해 100%의 여유를 두는 것으로 한다. - 관거의 계획의 기준이 되는 오수량은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이며, 하수 고도처리를 위한 모든 처리시설의 기준 오수량은 합류식이던 분류식이던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이다. - 관거의 조도계수(거칠기 세기)가 클수록 수리학적으로 불리하다. - 원형관의 경우 접합부가 많아져 지하수의 침투량이 많아질 염려가 있다. - 하수도 관거의 단면형상이 계란형인 경우 유량이 작은 경우에 원형거에 비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 포기조의 유효수심은 심층식인 경우 10m를 표준으로 하고, 포기조 여유고는 표준식은 80cm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 여재는 여재의 종류, 공극률, 비표면적, 균등계수 등을 고려하여 .. 2023. 11. 22. 수질오염 방지기술 정리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 수질오염 방지기술 - 첨두인자(peaking factor): 첨두유량과 평균유량의 비를 말한다. - 하구수 : kE/u2 - 갈수기 유량 기준은 10년 동안 연속 7일간의 최소 평균유량을 말한다. - 하구 오염물질 해석 시 사용하는 페클렛 수(Peclet number) = 이류운송률/(확산/이송확산 운송률) - 분산 현상을 실험하는데 쓰이는 추적자 물질 중 분자량이 커서 침적생물 여상에 사용되는 물질은 Dextran blue이다. - 침전지 수면적 설계 시 설계제원을 만족하는 더 큰 면적으로 설계한다. - 정수장의 물이 상류에서 하류로 방류될 때 수리학적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는 Froude 수이다. -> Fr = V2/gR - 압력이 kPa로 주어졌을 때는 게이지압일 가능.. 2023. 11. 21. 수질환경기사 수질오염 방지기술 정리 - (2)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 수질오염 방지기술 - 고형물 체류시간 SRT는 공정에서 유출하는 고형물의 총량과 공정안의 고형물의 비율, 즉 유출하는 고형물 총량은 슬러지로 유출하는 고형물과 상등액으로 유출하는 고형물의 합이다. -> 슬러지로 유출하는 고형물이 상등액으로 유출하는 고형물보다 많은 양이기에 상등액으로 유출하는 고형물은 무시할 수 있다. - 폭기조에 과도한 흰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세제가 유입되었거나 유기물이 너무 많은 물에 폭기 시켜서 발생한 거품이다. 유기물이 너무 많아 F/M비가 높으므로 F/M비를 낮추거나 SRT를 증가시킨다. 또는 반송량을 증가시키거나 소포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 Nocardia 거품의 경우 끈적한 갈색의 거품이 폭기조를 덮게 되는 현상으로 낮은 F/M비, 고농.. 2023. 6. 13. 수질환경기사 수질오염 방지기술 정리 - (1)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 수질오염 방지기술 - 응집의 경우 급속교반에 해당하며, 응결(flocculation)의 경우 완속교반에 해당한다. - 황산 제1 철의 최적의 pH는 9-11로 pH가 높을 때 응집반응이 빠르다. - 이산화염소는 맛과 냄새를 유발하지 않는다. - 이산화염소는 철과 망간은 산화시키지만, 브롬화합물을 산화하지는 못한다. - Cr 함유 폐수의 경우 환원의 pH는 2~3이며, 중화의 pH는 8~9이다. - CN함유 폐수는 1단계로 CNO-로 산화(pH 10~11, ORP 300mV, 반응시간 5~15 min) 후 2단계 (pH 8, ORP 600, 반응시간 30~40 min) CO2와 N2로 분해한다. - 알칼리 염소법에서 시안과 아연, 카드뮴 착화물은 용해도가 커서 처리에 문제가 .. 2023. 6. 13. 수질화학에 대하여 - 환경의 끝 * 최신 환경화학 정리[수질화학 등] - 합성세제는 비누와는 달리 경도를 구성하는 이온들을 미리 봉쇄시키므로 불용성 염을 형성하지 않는다. - ABS(Alkyl benzene sulfonate)는 곁가지를 가진 탄화수소를 가지고 있어 생분해성이 낮다. 반면에 LAS(Linear Alkyl sulfonate)는 친수성 황산염 벤젠이 직선형 알킬사슬에 부착하고 있는 구조로 ABS보다 생분해가 잘된다. - 급속교반은 수중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안정된 상태를 파괴하는 불안정화 조작이다. - 콜로이드는 음전하를 띄며 표면의 음전하는 양전하를 끌어당겨 입자표면에 양전하로 이루어진 고정층이 있다. -> 고정층 외부에 양이온과 음이온이 모두 존재하고 결합이 약한 이동성층이 생기는데 이는 확산층이다. -> 고정층과 확산.. 2023. 6. 10. 고도처리에 대하여 - 환경의 끝 * 생물학적 인 제거(BPR), 폐수처리 공학[질소, 인의 제거, BPR, Phostrip, A/O] - 폐수 내의 인은 정인산염, 폴리인산염, 유기인의 형태로 나타나며 폴리인산염과 유기인이 전체 인의 70%를 차지한다. - 혐기성 구역 내 질산염의 존재가 BPR 제어에 나븐 영향을 미친다. * BPR 메커니즘 1) 박테리아는 폴리인산염 같은 형태로 과다한 양의 인을 저장할 수 있다. 2) 혐기성 공정에서 인의 방출이 일어나고 호기성 공정에서 폴리인산염을 저장한다. - Acinobacter의 대표적인 세포증식계수는 0.4g VSS/g HAc이다. 이는 사용된 HAc(아세테이트) 1g에 대해 세포 내 인의 함량이 10%인 경우 0.04g의 인이 제거될 것이라는 이야기이고, 인 1g 제거에 25g의 HAc가.. 2023. 6. 6. 폐수의 혐기성 처리와 고도처리 - 환경의 끝 * 폐수의 혐기성 처리 - 가수분해(느림) 단계 -> 수소, 산생성 단계 -> 메탄생성 단계인 3단계로 구성된다. - 혐기성 발효는 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생물가스가 혐기성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지 않는 한 외부적인 열 공급원에 비용을 들여 추가로 가열해야 한다. - 산생성 세균에 적당한 pH는 5~6.5 정도이며, 메탄생성균에게 적당한 pH는 6.5 이상이다. - 혐기성 처리 중 형성된 산을 완충할 만한 알칼리도가 충분하지 않은 폐수에 대해서 반응조의 pH는 자동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주도 아래에서 알칼리 물질을 주입하여 조절할 수 있다. - 석회는 알칼리 중 가장 싼 물질이지만, 혐기성 시스템에서 CaCO3의 침전은 스케일링과 예기치 않은 고형물 축적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더.. 2023. 6. 6. 회전원판법과 충전상 반응기법을 이용한 폐수처리 폐수처리 공학[회전원판법과 충전상 반응기법(PBR)] * 회전원판법(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 RBC) - 근접배치한 얇은 원형 판들을 폐수가 흐르는 통에 약 40% 잠기게 한 후 1~2 rpm 정도로 회전시켜 생긴 판 표면인 생물막이 폐수를 통과하면서 유기물을 흡착하여 분해시킨다. - 슬러지의 반송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직접 최종침전지에 화학약품을 첨가하면 콜로이드성 SS와 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황산알루미늄을 첨가하면 80%까지의 탈인 효율을 얻을 수 있다. - 회전원판법의 장점 1) 운전이 쉽다. 2) 운전유지비가 낮다. 3) 부하변동과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이 크다. 4) 반응시간이 짧다. 5) 질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6)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7) 휴지기간에 대한.. 2023. 6. 6. 폐수처리공학 (4)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활성슬러지 공정] - SRT가 너무 작으면 분산된 미생물이 성장하며 유출수는 매우 탁하게 될 것이다. - 비사상균에 의한 슬러지 팽화의 경우 폐수의 화학적 조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영양소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면 SRT를 증가시켜 슬러지가 적절히 침전될 수 있도록 한다. - 슬러지 팽화 DO농도는 절대로 2.0mg/L 이하로 떨어져서는 안 된다. 사상균을 파괴하는 방법은 1) H2 O2 같은 산화제를 첨가하거나, 2) 기질 이동을 간섭하고 사상균을 흡수하는 철염을 첨가하는 것이 방법이다. 3) 점감식 포기를 한다. -> 1,2의 경우 일시적인 문제해결책으로 근본적인 원인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 포기조 어디에서나 0.5mg/L 이상을 유지하고, 유출수는 2.0mg/L 이상이 되도록.. 2023. 5. 29. 폐수처리공학 - (3)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 - 혐기성 미생물에 있어서 호기성 미생물과의 큰 차이점은 황의 함량이 높은 것이다. 인과 비율 동일하다. - 혐기성 공정에서 산 형성 단계는 알칼리도를 감소시키고 메탄 형성 단계는 알칼리도를 증가시킨다. 전체적인 결과는 알칼리도를 조금 감소시킨다. * 활성슬러지 공정 - 활성슬러지는 미생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응결된 슬러지 또는 플럭으로 정의되어 왔다. 용해성 유기물의 농도가 BCOD로 50mg/L보다 크면 활성슬러지 공정이 사용된다.(4000mg/L 이상인 경우는 혐기성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이 같은 상태에서 불용성 유기물 제거 역시 활성슬러지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다. - 최초의 활성슬러지는 회분식 상태였다. 이후 슬러지를 반송시키는 CFSTR을 사용하기 시작.. 2023. 5. 29. 폐수처리공학 (2)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폐수의 미생물과 질산화, 탈질화] 1) 박테리아 bacteria - 박테리아는 생물여상과 활성슬러지 처리장에서 그 수가 많으며, 활성슬러지 처리장에서 더욱 많다. 박테리아의 주 역할은 일차적인 분해이고 용해성 유기물들을 분해한다. 또한 체외 효소의 생성을 통해 부유성 유기물의 분해에도 관여한다. 활성슬러지에서 박테리아의 수는(10) 10~ (10) 12/L이다. 2) 조류 : 조류는 조건이 좋은 생물여상 표면, 안정지와 최종처리조에서 발견할 수 있다. 3) 원생동물 : 생물여상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활성슬러지 처리장에서는 처리장의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부하가 낮은 활성슬러지 처리장에서 수가 많으며, 폐수의 2차 침전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후생동물 : 생물여상과 부하.. 2023. 5. 28. 폐수처리공학 - (1) - 환경의 끝 폐수처리공학 정리 * 이산화염소 - 세균과 바이러스를 무기력화 하는데도 염소보다 효과가 있다. -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있는 가스이기 때문에 사용현장에서 만들어져야만 한다. - 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 등의 염소산염이 생성, 유독성 최종 생산물이 생산되어 잔류물의 성분 중에 남는다. - 암모니아와의 반응이 없으므로 클로라민을 형성하지 않는다. -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 유기화합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소와의 혼합에 의하여 생성된다. * 오존소독 - 산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방류수의 용존산소가 포화상태까지 올라간다. -> 재포기 할 필요가 없다. - 제거해야만 하는 화학적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자외선 소독 -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250~270nm .. 2023. 5. 28. 수질오염 방지기술 - 고도처리 정리 - 안정화된 슬러지는 냄새를 유발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슬러지 처리비용이 전체 폐수처리비용의 30~50%를 차지하여 슬러지 처리는 환경적 중요성과 함께 경제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 저속소화조는 단일조로 구성되어 있고 반응조에서 교반은 하지 않고 가열만 한다. 고속소화조는 2단계 소화법이라고 불린다. 첫 번째 반응조는 혼합이 주목적이며, 두 번째는 고액분리와 잔류 기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 압착여과법은 진공여과법과 비교할 때 탈수효율이 높고 여과액이 보다 더 맑지만 자동화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노동력이 더 소요되고 여포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원심탈수는 슬러지의 고형물이 물보다 비중이 클 경우에 적용효과가 좋다. - 생물학적인 제거 공법에서 DO는 2mg/L 이상으로 활성슬러지공법과.. 2023. 3. 9. 하수, 폐수의 처리와 폐기물 - 탄수화물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사상균이 발생하기 쉽다. 섬유성 미생물의 성장 등으로 인해 슬러지 벌킹이 발생한다. -> 활성슬러지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반송슬러지에 소화슬러지를 혼합하던가 점토, 소석회 등의 무기질을 폭기조 유입구에 투입한다. 황산반토 등의 응집제를 첨가하여 슬러지의 침전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또한 슬러지의 팽화가 심화되었을 때는 기존 활성슬러지를 버리고 새로 시작해야 한다. -> 반송슬러지를 포기조로 보내기 전에 재포기시킨다. 반송슬러지에 10~20mg/L의 염소를 주입하면 사상균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거나 BOD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도 있다. - 접촉안정법과 장기포기법은 1차 침전지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는다. Kraus 공법은 활성슬러지공법의 일종.. 2023. 2. 26. 2022년도 2회, 3회 수질환경기사 내용 정리 1) 22년도 2회 정리 - 비소는 인산염 광물의 존재에서 인 화합물 형태로 환경 중에 유입된다. - 도수거에서 개거나 암거인 경우에는 대개 30~50m 간격으로 시공조인트를 겸한 신축조인트를 설치하며 균일한 동수경사 1/3000~1/1000으로 도수하는 시설이다. - 이온교환막 전기투석법은 칼슘, 마그네슘 등 경도 물질의 제거효율은 높지만, 인 제거율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콜로이드성 현탁물질 제거에는 잘 이용하지 않는다. - 총 질소, COD, 암모니아성 질소는 황산으로 pH2 이하로 4도에서 보관하나 아질산성 질소는 pH 조정 없이 4도에서 보관한다. - 노말헥산추출물질 측정에 있어서 시료 적당량을 분액깔때기에 넣고 메틸오렌지 용액 0.1% 2~3방울을 넣고 황색이 적색으로 변할 때까지 염산(1+1).. 2023. 2. 18.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