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환경에 대하여/수질60

수질환경기사 수질오염개론, 상하수도 부영양화는 질소가 0.2~0.3ppm 이상, 인이 0.01~0.02ppm 이상인 경우 발생이 가능하다. 조류제거 시 황산구리의 첨가량은 약 1ppm 정도이다. 0.6~1.2ppm 정도 원유는 바다에 들어가면 해면에 막을 형성하여 두께 10-7cm가 될 때까지 확산된다. 1톤의 원유가 확산되면 약 1000 km2까지 퍼진다고 한다. 부영양화가 발생하면 수개월에서 수년간에 걸쳐 점점 악화되지 소멸되지 않는다. 적조현상은 갈수기가 아닌 풍수기에 발생한다. 갈수기에는 염분의 농도가 증가하고, 풍수기에는 물이 유입되어 염분의 농도가 작아지기 때문이며 영양염이 우스와 같이 유입되어 적조현상이 잘 일어난다. SNSIM 모델은 Braster가 개발한 저질의 영향과 광합성 작용에 의한 용존산소 반응을 나타낸 하천수질모델.. 2023. 11. 27.
수질오염 방지기술 Part 1 원심펌프는 회전수가 100~500 정도로 작다. 회전수는 유량에 비례하고 양정에 반비례하므로, 저유량의 고양정 펌프가 된다. 회전수가 작을수록 장치는 대형이 된다. 원심력을 이용한다. -> 흡입성능도 우수하고 공동현상 잘 발생하지 않는다. 효율은 원심 > 사류 > 축류펌프 순서이다. 사류펌프는 중간정도의 특성을 가지며 베인의 양력작용을 이용한다. 회전수는 700~1200 정도이며, 수위변동이 큰 곳에 적합하다. 축류펌프는 베인의 양력작용에 의하며 회전수가 1100~2000 정도로 저양정이며, 저양정일수록 펌프구경은 커진다. 또한 비교회전수가 높기 때문에 장치는 소형이 된다. 전양성이 2~3m인 우수배수는 축류펌프를 이용한다 -> 우측변사 스크류펌프는 구조가 간단하고 개방형이어서 운전 및 보수가 쉽다. 회.. 2023. 11. 26.
수질오염 방지기술 Part 2 SRT는 고형물 제류시간으로 공정에서 유출하는 고형물의 총량과 공정안의 고형물의 비율을 말한다. 유출되는 고형물 총량은 슬러지로 유출하는 고형물과 상등액으로 유출하는 고형물의 합이다. -> 슬러지로 유출하는 고형물이 상등액으로 유출되는 고형물보다 많은 양이기에 상등액으로 유출하는 고형물은 무시할 수 있다. SVI란 슬러지 1g이 만드는 슬러지의 부피 mL를 말한다. SDI란 슬러지 100ml이 만드는 슬러지의 g을 말한다. 슬러지의 세포생산량, 남아서 제거하는 슬러지량 = 세포 발생량 - 내호흡 세포량 XrQw = Y BOD Q n - K V X -> 양변을 VX로 나눠주면 식이 유도된다. 흰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는 세제가 유입되었거나 유기물이 많은 물에 폭기시켰기 때문이다. 유기물이 많다는 것은 즉 F.. 2023. 11. 26.
수질오염 방지기술 Part 3 상등액과 농축슬러지의 용적비가 2:3인 경우는 농축 전 슬러지의 용적은 5라고 할 수 있다. AOP는 과산화수소의 OH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OH 라디칼을 소비하는 HCO3-와 CO3 2-의 농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철염이 과량으로 존재할 때 H2O2를 단계적으로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과산화수소가 과량일 경우 산소 발생으로 인해 기포상태로 떠오르면서 슬러지를 부상시키기 때문에 수산화철 침전에 방해가 된다. 또한 철염이 과량일 경우에도 슬러지 발생이 증가하여 처리에 장애가 된다. -> 난분해성 COD가 생분해성 COD, BOD로 변화하여 COD는 낮아지지만 BOD는 증가할 수도 있으며, 염색폐수를 처리할 때 색이 없어졌다고 해서 완전처리된 것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 인산염이나 염소가 존재하면 철.. 2023. 11. 26.
환경공학 오답노트 1 - 환경의 끝 ★1) 베르누이 가정조건: 정상상태, 비압축성 유체, 마찰 없음, 비교적 느린 유체 적용 ★2) 프루드 수: 관성력과 중력의 비 Fr= V/(gh)1/2 , 1보다 크면 산만한 흐름 ★3) 크누센 수: 진공에서 기체의 흐름 Kn= 자유이동거리/dp, 입자작을수록 이동 많다 ★4) 슈미트 수: 점도와 확산상수와의 비 Sc=u/pD, 작을수록 확산 크다, 기체 ->프루-관중, 크누작누, 슈미점확 5) 메탄계- 파라핀계 6) N2O5; 무색투명하고 광택이 있음, 야간에만 존재, 물에 녹으면 질산 7) 산화상태 커질수록 독성 증가, 증기압 낮아진다, 수용성 높아진다 8) 스티렌 C8H8 9) 석면: 20년의 잠복기, 악성중피종 석면에 의해서만, 폐의 섬유화이며 흉막의 비후화유발 10) 라돈: 화학적 안정, 물리.. 2023. 11. 25.
폐수처리 정리 1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 - 요소는 아주 빠르게 분해되므로, 분해되지 않은 요소는 바로 방류된 폐수가 아니면 폐수 내에서는 좀처럼 발견되지 않음. - COD의 경우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을 산화하지만, 벤젠, 톨루엔, 피디린 등은 산화하지 못한다. 또 일부 무기질들도 산화하므로 분석 시 이들 물질의 반응을 억제하지 않을 경우 COD 값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 TOD에는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무기물질의 산소 요구량도 포함되며, 기기 내에서 산화되는 물질은 탄소, 수소, 질소, 화화이온, 이황사니온 등으로 TOD 파라미터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는다. - TOC의 경우 유기물 함유량이 작을 경우에 사용한다. 촉매하에서 유기물을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킨 후 적외선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 2023. 11. 24.
폐수처리 정리 2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 - 효소반응의 경우 Michaelis-menten 식에 근거하여 기질 농도가 낮은 경우, 반응속도는 기질 농도에 비례하는 1차 반응이며, 기질 농도가 증가학수록 반응속도 일정하게 되어 기질 농도에 독립적인 0차 반응이 된다. - 이는 일반적인 표현이고, 폐수처리공정은 고농도의 미생물을 이용하도록 설계하므로 대부분 기질제한조건이 되어 1차반응이 된다. - 효소촉매 반응은 고온에서 효소가 그 능력을 잃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효소촉매 반응은 고온에서 반응속도가 감소할 수도 있다. - 임의흐름 반응조: 플러그흐름과 완전혼합흐름 사이로, 실제의 포기 및 침강 탱크에서 보게 되는 것으로, 수학적 표현이 어렵다. 따라서 완전혼합이나 플러그흐름의 이상적 모델로 가정한다. - 일반적으로 스크린 2개 이상.. 2023. 11. 24.
폐수처리 정리 3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 - 황산철의 경우 침전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석회가 동시에 첨가되어야 하므로 황산철 단독으로 침전제로 사용될 수는 없다. - 인의 침전에는 유입폐수에 화학약품을 가하여 1차 슬러지와 함께 제거하는 것을 전침이라 하며, 1차 침전지의 유출수, 포기조, 2차 침전지 직전에 주입하는 것을 공침이라 하며, 2차 침전시설의 유출수에 주입하여 제거하는 것을 후침이라 한다. - pH가 10 이상이 되면 잉여칼슘이온이 인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실 아파타이트 Ca10(PO4) 6(OH) 2를 형성한다. - 석회와 폐수중의 알칼리도와의 반응으로 인한, Ca(OH) 2에서 중탄산염과의 반응으로 CaCO3의 형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석회의 양은 존재하는 인의 양과는 상관없이 주로 폐수 중의 알칼리도에 의해 .. 2023. 11. 24.
미생물을 이용한 포괄고정화법, 자기조립법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 포괄고정화법, 자기조립법 - 안정지의 경우 최고 수위가 1.5m가 넘어가면 바닥이 혐기성 상태가 되어 냄새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 SBR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폐수처리에 이용되는 반응되는 CFSTR, PFR과 다르게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아니하며 상이한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CFSTR과 PFR을 직렬로 연결한 것과 같으며 두 반응조의 동역학적 장점만을 취했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반응조라고도 볼 수 있다. 고도처리를 위해서 개발된 공정은 아니나 운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2차 처리와 고도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응용범위가 광범위한 특성이 있다. 난분해성 유기물 또는 억제물질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데 효과적이다. (유입 - 반응 - 침전 - 배출- .. 2023. 11. 24.
생물막 공정과 살수여상에 대하여 - 환경의 끝 폐수처리 공학[생물막 공정과 살수여상에 대하여] - 환경의 꿈 * 생물막 공정 - 생물막은 영양물질과 세균, 균류, 원생동물, 후생동물이 혼합되어 존재하는 하나의 생태계이며, 이중 세균이 오염물질의 제거에 가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생물막의 1단계 대수성장기로 생체량의 변화율은 생물막을 구성하는 생체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시기이고, 2단계의 전이기에서는 기질과 영양분이 충분한 생물막 표면 근처레서만 성장이 이루어져 생체량의 변화율은 생물막 표면 근처의 생체량에 비례하며, 3단계의 정상상태에 이르면 생체량의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이후 전단력이 생물막의 응집력에 비해 커질 경우 탈리가 발생한다. 생물막의 탈리는 기질 분해로 얻어진 과잉의 생체량으로 인한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여 평형상태로 돌아가.. 2023. 11. 24.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1)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Review - 전단응력 : y축에 대한 속도차이 의미한다. T* dV/dy - 힘 = 질량*가속도(kgm/sec2), N, dyne - 일 = 힘*길이(N*m, dyne*cm), J, ergs - 동력 = 일/시간(J/sec, N*m/sec, kgm2/sec3) - 표면장력: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에너지(일)로, J/m2 = N/m(dyne/cm) = kg/sec2 - Na2S2O3, 티오황산나트륨으로 1가 158g/eq이다. - KIO3, 아이오딘산칼륨으로 6가 35.67g/eq이다. - 물분자에서 산소와 수소 원자 사이의 거리는 0.96A이다. - 모세관현상에 의한 물기둥 상승높이 h= 4acos/rD - 해수는 이온강도 0.65의 강한 전해질 용액이다. - 해수는 3500.. 2023. 11. 22.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2)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Review - 회복지대에서 용존산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혐기성 상태가 억제되어 혐기성 분해산물인 가스발생이 억제된다. - 부영양화는 한번 발생하면 수개월에서 수년간에 걸쳐 점점 악화되지 소멸되지는 않는다. -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열폐수로 인해 친온성 미생물이 활성이 증가하여 번식률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수중 미생물이나 물고기의 번식률을 증가시킨다. - 갈수기에는 염분이 높아지므로 적도 발생이 적으나, 여름철 풍수기에 물 유입이 많은 경우 염분이 감소하고 영양염이 유입되어 적조가 발생하기 쉽다. - SNSIM 모델은 저질의 영향(SOD)과 광합성 작용에 의한 용존산소 반응을 나타내며, QUAL 모델은 유속, 수심, 조도계수에 의한 확산계수를 결정하였으며, 하천과 대기 사이.. 2023. 11. 22.
수질환경기사 상하수도 계획 정리 (1) - 환경의 신 * 수질환경기사 - 상하수도 계획 (1) - 계획 1일 평균급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에 계획인구를 곱한 후, 여기에 공장 폐수량, 지하수량 및 기타 배수량을 더한 것으로 한다. - 오수관거의 최소 관지름은 200mm이고, 우수관거, 합류관거의 최소 관지름은 250mm이다. - 상수의 급수관의 매설심도는 일반적으로 60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유하시간 - 최상류관거의 끝으로부터 하류관거의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획유량에 대응한 유속으로 나누어 구한다. - 소규모하수도는 계획인구가 약 10000명 이하인 하수도를 말한다. - 지하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20% 이하로 한다. - 계획 1일 최대급수량 =.. 2023. 11. 22.
수질환경기사 상하수도 계획 정리 (2)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정리 - 상하수도 계획 (2) - 내면조도가 변화하지 않는 관은 경질염화비닐관이나 폴리에틸렌 관과 같은 수지관이 내면조도가 변하지 않는다. - 스테인리스관은 부식이 적어서 라이닝이나 도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융착접속은 열을 가하여 수지를 녹인 후 접속시키는 형태이다. 따라서 우천시나 용천수 지반에서는 시공이 곤란하다. - Hazen-Williams 공식에 적용하는 유속계수 C값의 범위는 110~130이다. - 침사지는 가능한 취수구에 근접하여 설치하며, 지의 형상은 장방형으로 하고 유입부 및 유출부를 각각 점차 확대, 축소시킨 형태로 한다. 표면부하율은 200~500mm/min을 표준으로 하며, 지내 평균유속은 2~7cm/sec를 표준으로 한다. 지의 길이는 폭의 3~8배를 표준으.. 2023. 11. 22.
수질환경기사 상하수도 계획 정리 (3) - 환경의 끝 * 수질환경기사 필기 정리 - 상하수도 계획 (3) - 배수지의 지수는 2지 이상으로 하며, 유효수심은 3~6m를 표준으로 한다. 30cm 이상의 여유고를 두어야 하며, 바닥은 저수위보다 15cm 이상 낮게 해야 한다. 유효용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12시간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 배수지는 부득이한 경우 외에는 급수지역의 중앙 가까이 설치하며, 자연유하식 배수지의 표고는 최소동수압이 확보되는 높이여야 한다. - 배수관의 최소동수압과 최대동수압은 150~400 kPa이며,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 내의 최소동수압은 150 kPa, 최대정수압은 700 kPa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배수시설 중 소화용수량 기준에서 소화전 한 개의 방수량은 1m3/min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 Dar.. 2023. 11.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