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환경에 대하여/환경화학22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에 대하여 - 환경의 끝 환경화학[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 - (1) - 최근 화학물질평가는 급성독성, 수생생태독성, 용량-반응 상관성에 근거한 초기의 위험성 확인의 수준에서 벗어나 사용량, 사용형태, 물리화학적 성질, 환경 내 동태를 고려한 실제 인간이나 환경에의 노출 관련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위해성평가로 전환되고 있다. - 위험성 확인 -> 용량-반응평가 -> 노출평가 -> 위해성 결정 -> 건강기준 목표 설정 MCLG - 위해성 평가 -> 분석방법 및 한계 -> 처리기술과 비용 -> 규제의 사회적, 경제적 효과 -> 법적 기준 마련 MCL - 건강위해성평가는 동물실험과 사람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로부터 나온 독성 자료를 평가하고 낮은 용량에서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수학적인 식을 적용한다. 즉 위해물질 노출에 의한 건강 .. 2023. 11. 22. 최신 환경화학 요점 정리 - 환경의 끝 * 최신 환경화학 정리 - 탄소의 경우 수계에 절대적으로 많은 양이 존재하고 있기는 하나 환경계에서의 순환성 및 기능을 고려하여 대기를 저장소로 보고 있다. - 질소의 순환은 공중질소를 요소 등의 형태로 고정하여 농토에 시비하는 과정, 세균 및 조류 등에 의해 대기 중의 질소가 고정되어 환경계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시작한다. - 측정 가능한 물질의 모든 성질은 크기 성질과 세기 성질이라는 2개의 범주로 나누어진다. -> 크기 성질은 물질의 양에 따라서 그 크기가 바뀌는 성질로, 질량, 길이, 부피는 크기 성질이다. -> 세기 성질은 그 크기가 물질의 양과는 무관한 성질을 말한다. 녹는점, 밀도, 온도는 세기 성질이다. - 화씨온도는 물이 어는 온도를 화씨 32F 그리고 끓는 온도를 212F로 180F의 범.. 2023. 11. 22. 환경 유기화학에 대하여 정리 - 환경의 끝 * 최신 환경화학 정리 2 - 한 분자의 탄화수소에 치환되어 있는 OH의 수에 따라 1가, 2가, 3가로 구분하며, 2가 알코올은 관용적으로 glycol, 3가 알코올은 glycerol 또는 glycerin이라고 한다. - 물과 알코올이 잘 섞이는 이유는 수소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알코올의 수성 기는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친수성 부분이며, 탄화수소 부분은 물과 수소결합하지 않는 소수성 부분이다. 그러므로 소수성의 탄화수소사슬이 길면 길수록 알코올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진다. 또한 1자 곧은 사슬보다 가지 달린 사슬 구조가 더 용해도가 높은데, 이는 소수성 부분이 더 뭉쳐있어 물분자와의 접촉면이 적기 때문이다. - 메탄올은 과거에 나무를 건류하여 메탄올을 얻었던 이유로 wood alcohol이라고.. 2023. 11. 22. 환경물리화학에 대하여 - 환경의 끝 * 최신 환경화학 정리[환경물리화학 등] - (3) - 피리딘(pyridine): 6 원자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 중의 한 화합물로 불쾌한 냄새를 낸다. 벤젠고리에서 탄소원자 하나가 질소원자로 치환된 형태이다. - 인돌(indole)과 스카톨(skatole): 단백질의 혐기성 부패 과정에서 생성되는 불쾌한 냄새를 내는 헤테로 화합물이다. - 셀룰로오스는 식물의 구조 섬유로 제지공장의 폐수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폐수는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호기성 분해속도가 느리므로 대부분 일차처리에서 침강시켜 분리하여 물리적 처리를 하거나 혐기성 처리를 한다. - 녹말이 미생물의 여러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말토오스, 글루코오스를 거쳐 유기산의 일종인 피루브산이 되고 결국은 아세트산이.. 2023. 6. 10. 환경화학, 일반화학 등 정리 - 환경의 끝 환경화학 - (일반화학, 물리화학, 유기화학 기초이론) 1. 일반화학의 기초이론 - 히드라진 N2H4로 질소화합물이다. - 몰랄농도는 용매 1kg 중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 수이다. - 몰농도는 용액 1L 중에 들어있는 용질의 몰 수이다. - 자유 라디칼이란 1개 또는 그 이상의 짝짓지 않은 전자 즉, 홀전자를 갖는 화학종을 말한다. - 전기전도도의 단위 uS/cm(새로운 SI단위), umho/cm(이전의 단위)로 표현하며 두 단위는 같은 값을 나타낸다. * 화학결합은 이온결합, 공유결합, 배위결합, 킬레이트 결합 등 대표적으로 4가지가 있다. -> 킬레이트: 중심 금속원자가 여러 개의 리간드에 달라붙어 고리구조를 이루고 있는 형태를 말한다. 2. 물리화학의 기초이론 - 주된 관심이 되는 영역인 계와 그 .. 2023. 6. 6. 일반화학 정리 (1) 기체들의 평균 운동속도는 절대온도에 비례하고 분자량에 반비례하는데 식으로 나타내면 v= (3RT/M)1/2이다. 그레이엄의 확산법칙에 따르면 두 기체의 확산속도는 기체의 분자량과 밀도에 반비례한다. 모든 액체의 끓는점에서의 증기압은 대기압과 같다. 모든 액체의 끓는점에서의 증기압은 같다 액체가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화되는 증발은 액체 표면에서 분자들이 기화하는 현상이고, 끓음은 액체 내부에서도 기화가 일어나 기포가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금속결정의 구조는 보이는 대로 구조를 결정하며, 이온결정은 같은 전하끼리 구조를 결정하기 때문에 각각 생각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온결정의 배위수는 양이온과 가장 가까이 있는 음이온 수나, 음이온과 가장 가까이 있는 양이온 수를 의미한다. 물의 융해곡선 기울기는 일.. 2023. 3. 20. 환경화학 모의고사 정리 PFR은 열린계이다. 폐쇄계의 경우는 Batch type이다. 관내에서 다른 두 종류 금속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발생하는 부식을 갈바니부식이라고 한다. Peclet number는 레이놀즈 수와 유사한 것으로 이류에 대한 확산의 비를 말한다. 완전혼합 반응의 경우 이류에 비해 확산이 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Peclet 수는 0에 근접한다. Prandtl number는 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점성에 대한 분자확산의 비를 말한다. 동점성/분자확산 Nusselt number는 유체와 고체 표면 사이에서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숫자로 차원이 없다. 크레졸의 분자식은 C7H8O이다. PAHs는 자외선을 흡수하기도 하나 광분해는 잘 되지 않으며, 4개나 그 이하의 고리를 가진 PAH는 공기 중에서 주로 기체상태로.. 2023. 3. 18.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